sub menu line

목회칼럼

No제목 등록일
317라인홀드 니버 2021-06-27
라인홀드 니버(K. P Reinhold Niebuhr, 1892-1971)목사님은 1,2차 세계대전, 그리고 미국의 산업화 시대의 현장을 살아간 목사님입니다. 니버 목사님은 그리스도인들은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하여 불의한 사회에 대하여 침묵해서는 안 되며 눈을 감아서도 안 된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그리스도인은 현실문제, 즉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에 대해서 깊이 참여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에 건설하는데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신학공부는 세인트루이스의 이든 신학교와 예일 대학교에서 수학을 했으며, 23살에 목사 안수를 받고, 1915년부터 13년간 디트로이트(Detroit)에서 목회를 했습니다. 당시 디트로이트 지역은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였습니다. 목사님은 그곳에서 목회하면서 산업화의 고도성장 이면에 자리 잡고 있는 그늘진 사회를 목격하게 됩니다. 회사에서 강제 퇴직당하는 실업자문제, 노동문제, 또한 산업화 현장에서 인간이 비인간화되어 가는 모습들, 니버 목사님은 1928년까지 디트로이트에서 목회하면서 개인이 아무리 선하다 할지라도 집단 이기주의 앞에서는 쉽게 무너질 수밖에 없다는 현실의 문제 앞에 깊은 고뇌를 하게 됩니다. 그 후 유니온 신학교에서 윤리학을 강의하면서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Moral Man and Immoral Society>라는 책을 1932년에 쓰게 됩니다. 니버 목사님의 기도문 중에 “하나님,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는 평온과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꾸는 용기를, 그리고 그 차이를 분별하는 지혜를 주옵소서. 한 번에 하루를 살게 하시고 /한 번에 한순간을 누리게 하시며----”라는 구절은 우리가 한 번 깊이 생각할 기도문입니다.
물론 니버 목사님의 신학 사상 중 초월적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에 대하여 소홀히 여긴 점과 말년의 종교다원주의는 비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니버 목사님이 관심을 가졌던 부정직하고 불의한 현실 문제에 뛰어들어 바르게 바꾸라는 주장은 그리스도인들에게 깊은 감동을 줍니다. 오늘날 우리의 삶의 현장에서 일어나는 갈등문제, 정의와 공정, 그리고 평등에 대하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고민하는 그리스도인들은 한 번쯤 니버 목사님의 삶에 대하여 깊이 생각해 볼 만 합니다. 우리 모두 현실 참여문제에 대하여 너희는 세상의 빛이요, 소금이라고 말씀하신 예수님의 말씀을 다시 한번 깊이 묵상해 봅시다.
316이윤영 목사의 기도문 2021-06-20
1948년 5월 31일 해방 후 제1회 대한민국 국회가 소집되었습니다. 당시 임시의장이었던 이승만 박사는 하나님께 기도하고 시작하자고 제안하여 이윤영 위원(목사)이 기도를 드립니다. 국회 속기록에 있는 당시 기도문을 한 번 기억해봅시다.
“이 우주와 만물을 창조하시고 인간의 역사를 섭리하시는 하나님이시여, 이 민족을 돌아보시고 이 땅에 축복하셔서 감사에 넘치는 오늘이 있게 하심을 주님께 저희들은 성심(誠心)으로 감사하나이다. 오랜 시일 동안 이 민족의 고통과 호소를 들으시사 정의의 칼을 빼서 일제의 폭력을 굽히시사 하나님은 이제 세계 만방의 양심을 움직이시고 또한 우리 민족의 염원을 들으심으로 이 기쁜 역사적 환희의 날을 이 시간에 우리에게 오게 하심은 하나님의 섭리가 세계 만방에 정시(呈示)하신 것으로 저희들은 믿나이다. 하나님이시여, 이로부터 남북이 둘로 갈리어진 이 민족의 어려운 고통과 수치를 신원하여 주시고 우리 민족 우리 동포가 손을 같이 잡고 웃으며 노래 부르는 날이 우리 앞에 속히 오기를 기도하나이다. 하나님이시여, 원치 아니한 민생의 도탄( 塗炭)은 길면 길수록 이 땅에 악마의 권세가 확대되나 하나님의 거룩하신 영광은 이 땅에 오지 않을 수밖에 없을 줄 저희들은 생각하나이다. 원컨대 우리 조선 독립과 함께 남북통일을 주시옵고 또한 우리 민생의 복락(福樂)과 아울러 세계 평화를 허락하여 주시옵소서.--- 이제 이로부터 국회가 성립이 되어서 우리 민족의 염원이 되는, 모든 세계 만방이 주시하고 기다리는 우리의 모든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며 또한 이로부터서 우리의 완전 자주독립이 이 땅에 오며 자손 만대에 빛나고 푸르른 역사를 저희들이 정하는 이 사업을 완수하게 하여 주시옵소서. 하나님이 이 회의를 사회하시는 의장으로부터 모든 우리 의원 일동에게 건강을 주시옵고 또한 여기서 양심의 정의와 위신을 가지고 이 업무를 완수하게 도와주시옵기를 기도하나이다. 역사의 첫걸음을 걷는 오늘의 우리의 환희와 우리의 감격에 넘치는 이 민족적 기쁨을 다 하나님에게 영광과 감사를 올리나이다. 이 모든 말씀을 주 예수 그리스도 이름을 받들어 기도하나이다.아멘.”
315목숨을 바칠 만한 일 2021-06-13
홍천군 화촌면 주음치리 말 고갯길에 가면 6.25 전쟁 중에 맨몸으로 적의 탱크와 맞서 용감하게 싸운 11명의 육탄 용사 기념비가 있습니다. 당시 주음치리 말 고갯길은 홍천을 사수하기 위한 국군의 최후 방어 진지였습니다. 북한군은 소련제 SU-76 자주포, T-34 전차를 앞세워 파죽지세로 홍천을 향해 진격하고 있었습니다. 이때 말 고갯길에서 11명의 육탄 용사는 맨몸으로 탱크에 접근하여 수류탄과 연막탄을 탱크 안으로 집어넣어 4대의 탱크를 파괴했고 6대의 탱크를 노획했습니다. 1950년 6월 25일부터 30일까지 이곳 홍천 전투에서 북한군 제7사단의 남하를 저지하므로 북한군 전체의 작전에 차질을 가져 오게 만들었습니다. 이와 같은 감동의 육탄 용사 이야기는 황해도 개성의 송악산 고지에서도 있었습니다. 1949년 6.25 전쟁이 일어나기 1년 전, 빼앗겼던 서부 전선 개성의 송악산 고지를 탈환하기 위하여 10명의 육탄 용사들이 적의 진지의 토치카에 포탄을 가지고 맨몸으로 뛰어 고지를 탈환했습니다.
전남 영광군 염산면 염산교회에는 6.25 전쟁 중에 순교한 77명의 순교자를 기념하는 기념관이 있습니다. 전쟁 당시 염산교회는 독립군 출신의 김방호목사님이 담임하고 있었습니다. 목사님은 공산군이 지역을 점령하자 숨어서 몰래 예배를 드렸습니다. 그 후 인천상륙작전과 9.28 서울이 수복되고, 염산 지역에서도 국군이 들어오자 숨어 있던 청년들이 환영대회를 대대적으로 했습니다. 그러자 미처 후퇴하지 못한 공산군들이 나타나 엄청난 살인 보복을 한 것입니다. 이들은 사람들의 목에 돌을 매어 염산 앞바다에 밀어 넣는 잔인한 수법으로 사람들을 죽였습니다. 77명의 순교자들은 이렇게 바다에 수장되면서도 예수를 믿는 믿음을 저버리지 않고 끝까지 신앙을 지켰습니다.
홍천의 말고개 전투의 11명의 육탄 용사, 개성의 송악산 고지의 10명의 육탄 용사 이들은 목숨을 바쳐 조국을 지키려는 숭고한 정신이 있었습니다. 또한 염산교회의 77명의 순교자들은 생명을 바쳐 지키려는 신앙이 있었습니다. 인생을 사는 동안 목숨을 바칠만한 가치 있는 일에 자신의 목숨을 바친다는 것은 매우 위대한 일입니다. 나는 지금 내 목숨을 바칠 만한 일에 열중하고 있는지요?
314고도원의 아침 편지 2021-06-06
저는 매일 아침 편지를 받습니다. 아침편지 문화재단에서 보내는 <고도원의 아침편지>의 이메일입니다. <아침 편지>는 여러 책에 나온 좋은 문장을 짧게 인용하여 편지를 보냅니다. 아침에 묵상하기 좋은 문장들입니다. 아침편지를 보내는 고도원 선생은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책 읽는 훈련을 받았습니다. 그의 아버지 고은석 목사님은 평양신학교 출신으로 가난한 시골교회 목회자였습니다. 그는 가난하지만 언제나 손에 책이 들려 있는 독서광이셨습니다. 그러기에 아들에게 책 읽는 훈련을 시키신 것입니다. 책 읽는 훈련으로 감동을 받은 문장에 줄을 치고, 독서카드를 작성하도록 했습니다. 그 결과 고도원은 중학교 2학년 때 함석헌 선생의 <뜻으로 본 한국역사>, 토인비의 <역사연구>을 읽고 감동을 받을 정도였습니다. 인터뷰한 글을 보니 그는 아버지 고은석 목사님으로부터 <책 읽는 것, 남을 위한 눈물,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를 배웠다고 합니다.
그는 연세대학 신학과 그리고 대학원을 졸업하면서 대학신문 <연세춘추>의 편집장을 지냈고, 졸업 후 <뿌리 깊은 나무>잡지사 기자, 중앙일보 기자, 김대중 대통령 연설문 담당 비서관을 지냈습니다. 그가 대통령 연설문 담당 비서관이 되었다는 것은 글 쓰는 실력을 인정받았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김대중 대통령은 누구보다도 책을 많이 읽은 다독가이며 연설가이며 기억력이 좋기로 유명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대통령 밑에서 연설문을 쓴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5년 동안 그를 지탱해 준 것은 독서의 힘이었습니다. 그 후 2001년 8월 1일 “희망이란” 제목의 아침편지를 시작하여 지금까지 매일 아침 360만 명에게 편지를 보내고 있습니다.
누군가 글을 써 읽는 독자들에게 감동을 준다는 것은 매우 뜻깊은 일입니다. 그리고 자신이 읽은 책 중에 감동 받은 문장을 남에게 전달하는 일 역시 매우 의미 있는 일입니다. 고도원의 아침편지는 자신이 읽은 책 중에 감동 받은 문장을 남에게 알려 함께 감동 받자는 것입니다. 특히 젊은이들에게 꿈을 심어주는 일입니다. 주간에 묵상한 성경말씀을 소개합니다 “여호와여 왕이 주의 힘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며 주의 구원으로 말미암아 크게 즐거워하리이다. 그의 마음의 소원을 들어 주셨으며 그의 입술의 요구를 거절하지 아니하셨나이다”(시21:1-2)
313 삶을 변화시키는 복음 2021-05-30
네덜란드의 개혁주의 신학자이며 정치가였던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는 레이던(Leiden) 대학에서 신학 공부를 마치고 1863년 헬더란드 주에 속한 작은 시골 마을 베이스트(Beest)교회에 청빙을 받아 26살에 목회를 시작합니다. 처음 목회지에서 열정을 가지고 설교를 했습니다. 그런데 결과는 성도들의 변화의 모습이 없음을 깨닫게 됩니다. 특히 소수의 성도들은 카이퍼 목사님의 지식 중심의 자유주의 설교를 환영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카이퍼 목사님은 목회 현장에서 대학에서 배운 대로 설교하는 자신의 목회가 무엇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이유는 교회가 복음에 대한 열정이 없고 성도들의 변화의 모습이 없다는 것입니다. 4년 동안 베이스트 교회에서의 목회 생활은 아브라함 카이퍼 목사님에게 복음의 본질로 돌아오는 중요한 변화의 시기였습니다. 이곳에서 기도하던 평범한 시골교회의 소수의 개혁주의 성도들을 만난 것은 아브라함 카이퍼 목사님의 일생에 중요한 만남이었습니다. 이곳에서 4년 목회를 마친 후 1867년 베이스트 교회를 떠나 우트레흐트(utrecht)의 돔교회(domkerk)로 목회지를 옮겨갈 때 떠나면서 성도들에게 자신의 부임 초기에 행한 비복음적인 설교에 대해서 공적인 회개를 하였습니다. 훗날 아브라함 카이퍼 목사님은 세계 3대(워필드. 바빙크, 카이퍼) 칼빈주의 신학자가 되었고, 정치인으로 총리를 지냈고, <자유대학>를 설립하는 교육자가 되었습니다. 초기 목회 현장에서 복음에 충만한 성도들의 만남이 카이퍼 목사님을 변화시킨 것입니다.
카이퍼 목사님이 1908년에 쓴 <하나님께 가까이> 신앙의 명상록이 있습니다. 서문에서 이성주의에 대하여 말하길 이성주의는 끝이 눈부시게 투명한 아름다운 얼음 결정체라고 말하면서 얼음 밑에 흐르는 생수의 강줄기는 너무나 쉽게 말라버린다고 말합니다. 지식을 내세우는 이성주의는 겉으로는 화려하지만 영혼을 살리는 생수의 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오직 복음만이 우리의 영혼을 살리고 우리에게 삶에 대한 열정이 솟아나게 합니다. 이제 6월입니다. 대자연이 푸르른 녹음(綠陰)의 계절입니다. 우리의 영혼도 지식 중심의 이성주의가 아닌 복음으로 충만하여 영혼의 평안과 기쁨, 그리고 우리의 삶의 현장에 새로운 도전의 열망이 솟아나기를 바랍니다.
312하나되는 공동체 2021-05-23
한국장로교 역사를 보면 1885년 미국 북장로교회 소속의 언더우드 선교사, 1889년 호주 장로교회의 데이비드 선교사, 1892년 미국 남장로교회 소속 7인의 선발대, 1893년 캐나다 장로교회 맥켄지 선교사 등 4개의 장로교단의 선교사들이 활동을 했습니다. 선교정책은 네비우스 선교정책으로 선교지역을 장로교, 감리교 그리고 4개의 장로교 교단이 지역을 나누어 선교를 했기에 큰 마찰은 없었습니다. (1)서울, 평양, 황해도, 충청도는 미국 북장로교 선교지역, (2)호남지역은 미국 남장로교 선교지역, (3)경상도 특히 경남과 부산은 호주 장로교 선교지역으로 (4)함경도, 만주는 캐나다 장로교 선교사들이 활동을 했습니다. 당시 전국을 4개 지역으로 나누어 선교활동을 했으므로 한국교회는 4개의 장로교단이 될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지역은 나누어 활동을 했지만 서로 교류하면서 한국 장로교단을 하나로 만들었습니다. 1901년 9월 한국 장로교는 하나로 한다는 큰 목적으로 <조선예수교장로회공의회>를 결성하였습니다. 한국 장로교단을 하나로 하기까지 문제가 많았지만 한국 장로교단을 하나로 한다는 큰 목적 아래 서로 양보하면서 하나로 만들었습니다.
1907년 평양신학교 졸업생 7명에게 첫 목사 안수를 할 때 이들을 어디 소속으로 하느냐 선교사들에게는 큰 고민이었습니다. 1885년 첫 선교사가 들어온 후 22년 만에 목사 안수를 하는 일이기에 선교사들에게는 의미 있는 일이었습니다. 그러기에 자신들의 선교회 소속으로 하고 싶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선교사님들은 이 문제를 놓고 졸업하기 2년 전인 1905년부터 의논하며 기도했습니다. 결국 마지막에는 모두가 양보하여 7명의 목사를 <조선예수교장로회> 소속으로 했습니다. 이렇게 한국 장로교단이 하나로 출발하기까지 선교사님들의 많은 노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한국 장로교회는 사분오열되어 장로교 교단만 286개 교단이 등록되어 있는 부끄러운 현실입니다. 선교 초기 4개 나라의 선교사들이 보여준 한국 장로교회를 하나로 하려는 노력과 기도하던 모습은 분열된 한국 장로교회에 큰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 모든 일에 조금씩 양보하여 분열하지 말고 어디서나 하나를 이루는 공동체를 이루길 바랍니다. 가정, 직장, 교회 그리고 소속된 기관에서 자신의 주장을 조금 양보하며 화해와 일치를 이루길 바랍니다.
311스승의 주일 2021-05-16
헬런 애덤스 켈러(Helen Adams Keller, 1880-1968)는 미국의 작가, 교육자, 사회주의 운동가입니다. 헬런 켈러는 어린 시절 질병으로 시각과 청각이 이중 장애를 가지게 됩니다. 사물을 볼 수 없고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사람이 어떻게 위대한 삶을 살았는가? 헬런 켈러가 이중 장애를 극복하기까지는 그를 가르친 위대한 스승, 앤 설리반(Anne Sullivan 1866-1936)이 이었습니다. 설리반 선생은 사물을 볼 수 없고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제자 헬런 켈러에게 느낄 수 있도록 가르쳤습니다. 설리반 선생의 노력으로 헬런 켈러는 장애를 극복하고 하버드 대학을 졸업했고, 작가로, 교육자로, 사회주의 운동가로 활동할 수 있었습니다. 설리반 선생이 헬런 켈러를 가르치면서 한 말 가운데 “실패하더라도 계속하라. 기적을 바라면서 계속하라. 실패에도 배우는 것이 있을 테고, 그러면서 또 다른 기적이 일어날 수 있다."는 말은 도전하는 사람들에게 큰 힘을 주는 말입니다.
조선시대 왕도정치(王道政治)를 꿈꾸며 조선을 개혁하려 했던 조광조(趙光祖, 1482-1520)는 어린 시절 무오사화로 평안도 희천으로 유배 왔던 위대한 학자 김굉필을 시골에서 만나게 됩니다. 조광조는 김굉필의 만남으로 큰 가르침을 받게 됩니다. 조광조의 스승이었던 김굉필은 조선시대의 위대한 학자입니다. 조선시대의 학자들의 계보를 보면 정몽주-김숙자-김종직-김굉필-조광조-이퇴계로 이어집니다. 구한 말 우리나라에 선교사들이 들어올 1902년까지 미국의 시카고 맥코믹 신학교 출신 선교사들이 14명(사무엘 마펫, 그레함 리, 스왈론, 등)이 들어와 활동을 했습니다. 시카고의 작은 신학교 출신의 선교사들이 이처럼 한국에 많이 온 것은 당시 맥코믹 신학교에 크레이그(Craig)박사가 동양 선교를 부르짖었고 특히 한국을 그들에게 소개함으로 선교에 소명을 받은 사람들이 한국으로 몰려오게 된 것입니다. 오늘은 5월 셋째 주일 스승의 주일입니다. 우리를 가르친 스승을 기억하며 우리의 삶을 한 번쯤 돌아보는 주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우리의 존재는 우리를 가르친 스승들이 있기에 존재합니다. 특히 ‘위대한 인물 뒤에는 위대한 스승이 있다’는 말처럼 스승의 가르침은 오늘의 우리를 있게 한 것입니다. 스승의 은혜에 감사하는 주일이 되기를 바랍니다.
310아버지의 기도 2021-05-09
오 주님, / 내 아이가 이런 사람이 되게 하소서.
약한 때를 충분히 분별할 힘이 있는 사람, / 두려운 때 자신을 잃지 않는 용기 있는 사람, / 정직한 패배 앞에 당당하고 부끄러워하지 않는 사람, / 승리 앞에 겸손하고 온유한 사람이 되게 하소서. / 내 아이가 이런 사람이 되게 하소서. / 바랄 줄만 알고 행할 줄은 모르는 사람이 되지 않게 하시고 / 자신의 본분을 자각하여 / 하나님과 자신을 아는 것이 / 지식의 근본임을 깨닫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 그를 쉽고 편한 길로 인도하지 마시고 / 긴장과 어려움과 도전의 폭풍우 속에서 당당히 서는 법과 / 실패한 자를 긍휼히 여길 줄 아는 법을 배우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 내 아이가 이런 사람이 되게 하소서. /마음이 깨끗하고 높은 이상을 품은 사람, / 남을 다스리기 전에 먼저 자신을 다스리는 사람, / 미래를 향해 전진하면서도 /과거를 결코 잊지 않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 그리고 이 모든 것들 외에 그에게 유머 감각을 주소서. / 그래서 매사에 진지하면서도 / 결코 지나치게 심각한 사람이 되지 않게 하소서. / 그에게 겸손을 주셔서 진정한 위대함은 단순함에 있으며 / 진정한 지혜는 열린 마음에 있고 / 진정한 힘은 너그러움에 있음을 언제나 기억하게 하소서. / 그럴 때, / 그 아이의 아비로서 저는 그에게 이렇게 속삭일 수 있을 것입니다. / “나는 내 인생을 결코 헛되이 살지 않았노라.”
더글러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 1880 – 1964년) 장군은 2차 대전, 6.25 한국전쟁에 활동한 미국의 군인이며 정치가입니다. 맥아더 장군은 1942년 6월 미국의 ‘올해의 자랑스런 아버지’로 뽑힐 만큼 자녀들을 사랑한 아버지였습니다. <아버지의 기도>는 2차대전 중 아들에게 주는 기도문이었습니다. 맥아더 장군만 자녀를 사랑한 것이 아니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자녀를 사랑하는 부모의 마음은 다 같은 마음일 것입니다. 오늘은 어버이 주일입니다. 우리 모두 어버이의 마음을 헤아려 부모님 말씀에 순종하는 자녀들이 되기 바랍니다. “자녀들아 주 안에서 너희 부모에게 순종하라 이것이 옳으니라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은 약속이 있는 첫 계명이니 이로써 네가 잘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엡6:1-3)
309노매드랜드(Nomadland) 2021-05-02
주간에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이 있었습니다. 시상식에서 우리나라 배우 윤여정 씨가 여우조연상을 받았고, 최고의 영광인 아카데미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은 미국 영화 <노매드랜드 Nomadland>가 받았습니다. 노매드랜드는 이미 77회 베니스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받았고 전 세계에서 211개의 상을 받은 2021년의 최고의 영화입니다. 영화 제목 노매드랜드라는 말은 직역하면 노매드(nomad)-“유목민(遊牧民)”+랜드(land)-“땅”으로 유목민의 땅이라는 말입니다. 노매드랜드는 미국의 여성 언론인 제시카 브루더가 2017년에 쓴 원작, 'Nomadland: Surviving America in the Twenty-First Century(노매드랜드: 21세기 미국에서 살아남기)'를 각색하여 영화로 만든 작품입니다. 영화의 배경은 2008년 미국의 금융위기 때 주택담보의 빚을 갚지 못해 중산층들이 집에서 쫓겨나 거리로 내몰리는 사회적 문제의 시대에 집에서 쫓겨나듯 나온 네바다 주의 한 여성이 자동차 밴을 타고 광활한 미국 서부를 여행하며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영화의 시놉시스에서 영화를 이렇게 소개합니다. “전 세계가 동행한 가슴 벅찬 여정, 길이 계속되는 한 우리의 삶도 계속된다. 모든 것이 무너진 후에야 비로소 열리는 새로운 길 그리고 희망, 경제적 붕괴로 도시 전체가 무너진 후 홀로 남겨진 ‘펀’(프란시스 맥도맨드). 추억이 깃든 도시를 떠나 작은 밴과 함께 한 번도 가보지 않은 낯선 길 위의 세상으로 떠난다. 그 곳에서 ‘펀’은 각자의 사연을 가진 노매드들을 만나게 되고, 광활한 자연과 길 위에서의 삶을 스스로 선택한 그들과 만나고 헤어지며 다시 살아가기 위한 여정을 시작하는데----”
인간은 어떠한 환경에도 적응하며 살아가는 방법을 아는 존재입니다. 금융위기로 집에서 쫓겨나 거리로 내 몰린 사람들, 그들은 어려운 환경에도 적응하면서 유목민처럼 자동차를 타고 떠도는 삶을 살면서 그 안에서 희망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노매드랜드는 그리스도인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영화입니다. 잠깐의 나그네 인생길, 순례 길을 마치면 영원한 천국에 들어가는 것이 그리스도인입니다. 우리 모두 현실이 너무 어렵다고 절망하거나 괴로워하지 맙시다. 주어진 나그네 인생 길 노매드들처럼 순응하며 오늘도 순례자 길을 희망을 가지고 달려갑시다.
308유다 왕 여호사밧 2021-04-25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여호사밧은 남왕국 유다 나라의 4대 왕입니다. 그는 다윗 왕의 자손으로 그 계보는 다윗-솔로몬-르호보암-아비야-아사-여호사밧으로 이어집니다. 여호사밧은 35세에 왕이 되어 25년간 유다 지역을 다스렸습니다. 그의 일생을 3가지로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업적 : 종교개혁으로 산당을 제거하다.
그는 재임 기간 다윗 왕처럼 하나님을 의지하여 개혁을 단행했습니다. 대하17:6절에 “그가 전심으로 여호와의 길을 걸어 산당들과 아세라 목상들도 유다에서 제거하였더라”는 기록처럼 종교개혁을 단행한 왕입니다. 구약성경에서 다윗 왕처럼 하나님을 의지하고 종교개혁을 단행한 3명의 왕을 언급할 때 여호사밧, 히스기야, 요시야를 꼽습니다.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산당은 바알 신을 섬기는 일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여호사밧은 이러한 산당을 제거한 개혁의 왕입니다.
2. 실수 : 아합과 연합하여 전쟁에 임하다.
여호사밧의 정치적 실수는 북왕국 아합 왕과 화친을 맺어 전쟁에 임한 것입니다. 선지자들을 핍박하고 우상숭배를 한 아합 왕과 연합하여 길르앗 라못을 친 것이 여호사밧의 실수입니다. 당시 선지자가 전쟁이 나가지 말라고 예언하지만, 예언을 소홀히 여기고 전쟁에 나가 패전합니다. 이 전쟁에서 아합왕은 전사했고 여호사밧은 군사력이 약화되어 모압과 암몬의 침략을 받습니다.
3. 기도: 위기의 때 기도하다.
여호사밧의 군사력이 약화된 틈을 타 모압과 암몬이 연합하여 유다왕국을 침략합니다. 이때 이미 길르앗 라못에서 패전한 유다왕국은 모압을 막을 힘이 없었습니다. 국가적 위기에 여호사밧은 백성들에게 금식을 선포하고 하나님께 기도합니다. 역대하20:3-4 “여호와께로 낯을 향하여 간구하고 온 유다 백성에게 금식하라 공포하매, 유다 모든 성읍에서 모여와서 여호와께 간구하더라” 이처럼 여호사밧은 기도로 승리합니다. 전쟁을 승리한 여호사밧은 ‘브라가 골짜기’에서 하나님께 찬양을 돌립니다. 북왕국 아합왕과 연합하여 전쟁에 나간 것이 여호사밧의 실수였다면 모압과 전쟁에서는 기도로 승리합니다. 위기의 때 기도로 승리한 여호사밧처럼 우리도 인생의 위기에 기도로 승리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