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No제목 | 등록일 |
---|---|
335추수감사주일 | 2021-11-07 |
구약 시대의 3대 절기는 유월절(逾越節), 오순절(五旬節), 초막절(草幕節-수장절 收藏節)입니다. 그 가운데 초막절은 출애굽 때 광야에서 하나님의 돌보심을 감사하는 절기입니다. 오늘날 우리의 추수감사절과 같은 절기입니다. 미국의 추수감사절은 1620년 메이프라워(Mayflower)호를 타고 미국에 도착한 청교도들이 다음 해 1621년 농사를 짓고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초청하여 함께 감사하며 잔치한 것이 추수감사절의 유래입니다. 미국은 1863년 링컨 대통령이 11월 마지막 목요일을 국경일로 제정하여 추수감사절을 지켜 오고 있습니다. 영국은 8월 1일 라마스 날(Lammas Day)을 추수감사절로 지키고, 독일은 성 미카엘 축일(9월 29일)이 지난 후 주일을 감사절로, 스위스 개혁파 교회는 9월에 추수감사절을 지킵니다. 우리나라의 추수감사절에 대한 기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全國 敎會에셔 一年에 一次式 感謝하난 日을 作定하난 問題에 對하야 徐景祚 長老가 演說하기를 我國敎會가 比前 旺盛한 것이 天父의 恩惠인즉 一 感謝日을 定하고 一年에 一次式 悅樂하며 感謝하난 거시 甚合하다 하고 其後에 梁甸伯·金興京·邦基昌·韓錫晋 諸氏가 繼續 說明하다." (죠선 예수교장로회 공의회 제4회 회의록) 1904년 9월 13일 서울 동현 예배당에서 회집된 제4회 합동 공의회에서 서경조(1907년 목사 안수 받음)장로가 감사주일 제정에 대한 발언의 기록입니다. 서경조 장로의 이러한 발언으로 한국교회는 1904년 11월 11일 첫 감사절을 지켰습니다. 이후 선교사들이 날짜를 1905년 첫째 주 목요일, 1906년 11월 19일(목요일), 1908년에는 11월 마지막 목요일로 정하여 미국의 추수감사절 절기와 맞추어 지키다가 11월 셋째주일로 지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선조들의 감사절의 유래는 1년 농사의 추수를 감사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우리나라에 복음이 전파 된 것에 대한 감사이며, 하나님의 은혜로 교회가 부흥한 것에 대한 감사입니다. 감사절 날짜 역시 11월 초에 지켰습니다. 우리 교회는 몇 년 전부터 11월 첫째주일로 감사주일로 정하여 지키고 있습니다. 2021년은 우리는 코로나바이러스로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렇지만 구약의 다니엘이 바벨론 포로의 고난 중에도 감사한 것처럼 우리도 2021년 코로나바이러스의 고난의 한 해를 보내면서 하나님께 감사하는 믿음의 사람이 되기를 바랍니다. |
|
334504주년 종교개혁 | 2021-10-31 |
오늘은 504주년 되는 종교개혁주일입니다. 해마다 종교개혁주일이 되면 우리는 Sola Scriptura! (오직 성경), Solus Christus! (오직 그리스도), Sola Gratia! (오직 은혜), Sola Fide! (오직 믿음), Soli Deo Gloria! (오직 하나님께 영광)를 외치며 개혁정신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됩니다. 종교개혁은 영어로 the Reformation라고 씁니다. Reformation는 항상 대문자로 씁니다. 16세기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이 서양 역사에서 워낙 큰 사건이기에 때문에 정관사(the)를 붙여 대문자로 표기하는 고유명사가 되었습니다. Reformation의 뜻은 다시(Re)+ 형태(form)의 뜻으로 본래의 형태를 부수고 바르게 형태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Reformation을 우리는 개혁이라번역합니다. <개혁 改革>이라는 말은 “기구나 제도 따위를 새롭게 뜯어 고침”로 해석됩니다. 이 말은 <고친다>는 “개”(改)와 <가죽>이라는 “혁”(革)이 합쳐진 말입니다. 직역하면 가죽을 새롭게 한다는 것입니다. 개혁하는 작업은 가죽을 만드는 과정처럼 어려운 과정입니다. 기존의 제도나 행동을 고쳐 새롭게 한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가죽을 만들려면 동물을 잡아 얻은 생가죽에 기름을 빼는 칼로 문지르는 무두질이 필요합니다. 생가죽을 물과 화공약품에 담그고 때리는 무두질이 없으면 가죽은 뻣뻣하여 쓸 수 없게 됩니다. 무두질은 끈질긴 작업이며 기다리는 작업입니다. 이처럼 개혁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생가죽에 무두질을 하듯 종교개혁은 생명을 건 투쟁으로 긴 시간이 필요합니다. 종교개혁은 가죽을 만드는 작업처럼 어려운 작업이기에 순교를 각오한 끈질긴 작업입니다. 제네바에서 종교개혁을 한 칼빈(John Calvin 1509-1564)도 제네바 시민들에게 엄격한 윤리의식의 신앙을 강조하다 시민들의 저항하여 1538년 스크라스부르크로 추방을 당합니다. 그러나 칼빈은 3년 후 제네바로 다시 돌아와 개혁을 계속했습니다. 이처럼 개혁은 하루아침에 완성되는 것이 아닙니다. 어려운 상황에도 변절되지 않고, 포기하지 않으며 끝까지 바르게 고쳐나가는 것입니다. 우리는 개혁자의 후예들입니다. 어떠한 상황과 고난에도 낙심하지 않고 소망 중에 날마다 잘못된 것을 바르게 고쳐나가는 <개혁(改革)>의 정신을 이어가는 사람들입니다. 504주년 종교개혁 주일을 맞이하여 오늘도 우리의 삶을 돌아보며 바르게 고쳐나가는 삶을 삽시다. |
|
333코로나 시대의 주일학교 | 2021-10-24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영어: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는 2019년 12월 첫 사례가 보고되어 지금까지 우리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전염병으로 우리의 일상의 삶이 무너졌습니다. 2년 가까이 대면하여 모임을 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고통입니다. 특히 예배 모임을 할 수 없는 기독교인들의 신앙은 너무나 큰 위기입니다. 그래도 장년들은 견딜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학교생활과 특히 주일학교의 신앙교육의 위기를 맞이했습니다. 대면하여 예배할 수 없고 말씀을 가르칠 수 없는 위기의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래도 우리는 다음 세대의 신앙교육을 포기할 수 없습니다. 위기의 시대 우리는 더욱 열심을 내어 다음 세대를 가르쳐야 할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교회는 소래교회입니다. 1883년 5월 16일에 황해도 장연군 대구면 송천리에 세워졌습니다. 선교사들이 세운 것이 아니라 서상륜, 서경조 형제에 의하여 자력으로 세워졌습니다. 소래교회는 어려운 시대 마을주민들에게 복음을 전했고 무엇보다 어린이를 위하여 주일학교를 시작했습니다. 1895년에는 정부의 허락을 받아 <해서제일학교>로 발전시켰습니다. <해서제일학교> 출신으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친 분들이 많습니다. 세브란스 의대 제1회 출신으로 의사이며 독립 운동가인 <김필순> <홍종은>선생, 서경조 목사님의 장남으로 세브란스 제2회 출신 <서광호>, 중국 남경대학을 졸업하고 독립운동과 경신중고등학교 교장을 지낸 <서병호>선생, 의사이며 독립운동을 한 <박헌식>선생, 평생을 세브란스에서 의대생들을 가르쳤으며 연세대학교 부총장, 원자력병원장과 유한공전 재단이사장을 역임한 <김명선>선생, 여성으로 동경유학생 2.8독립선언을 주도했고 귀국 후 독립운동을 한 <김마리아>선생, 미국 콜롬비아대학 졸업 후 수피아여고와 서울정신여고 교장을 지낸 <김필례>선생, 남궁혁 박사의 부인으로 여성독립운동가인 <김함라>선생, 김규식 선생의 부인으로 독립운동을 한 <김순애>선생 등 수많은 인재를 배출했습니다. 개화기의 어려운 때, 우리의 신앙의 선조들이 인재양성을 위하여 아이들을 가르쳤습니다. 오늘의 코로나바이러스의 위기의 때 우리도 다음 세대를 위한 주일학교 교육에 열심을 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조금만 더 힘을 냅시다. 주께서 우리와 함께 하십니다. |
|
332기도의 능력 | 2021-10-17 |
<갈대상자>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은 한동대학을 설립하여 이끌어 온 김영길 총장의 부인 김영애 권사의 간증을 2004년 출판한 책입니다. 애굽의 바로 왕이 히브리 노예들은 남자 아이가 태어나면 나일강에 버리라는 잔인한 학대가 있을 때 <갈대상자>에 모세를 넣어 나일강에 띄운 것처럼, 포항의 끝자락 시골 변두리에 한동대학을 설립해 놓고 갈대상자처럼 철저하게 하나님께 맡기고 고난을 극복하는 기적의 과정을 간증한 책입니다. 특히 어려운 상황이 있을 때마다 하나님께 간절히 기도하여 응답받는 구체적 내용들은 책을 읽는 사람들에게 너무나 큰 감동을 줍니다. <갈대상자>처럼 기도의 사람들이 이루어낸 기적의 역사와 같은 종류의 책으로 <백악관을 기도실로 만든 대통령 링컨>이란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은 링컨 대통령의 일생을 전기 형태로 쓴 책입니다. 링컨 대통령은 어려운 환경에서 계속되는 실패에도 실망하지 않고 도전하여 결국 대통령이 됩니다. 31세 때 사업 실패, 32세 때 주 의회 의원 선거에 낙선, 34세 때 사업 실패, 35세 때 신경 질환 발병, 43-47세까지 하원 의원 선거에 세 번 낙선, 55세 상원 의원 선거에 낙선, 56세 부통령 낙선, 58세 때 상원 의원 낙선, 결국 60세에 대통령에 당선됩니다. 이 과정에 링컨은 하나님께 항상 기도했습니다. 링컨 대통령은 노예해방을 위하여 남북전쟁을 할 때도 늘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영국의 튜터 왕조의 메리 여왕은 (Mary 1542-1587년) 종교개혁자들을 핍박한 왕입니다. 개혁주의 성도들을 너무나 많이 죽였기에 역사는 그녀를 피의 여왕(Bloody Mary)이라고 기록합니다. 잔인하게 개혁자들을 핍박한 메리 여왕에게도 두려운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바로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자 존 낙스(John Knox, 1513~1572)입니다. 메리 여왕은 “나는 100만의 군대보다 존 낙스 한 사람의 기도를 더 두려워 한다.”고 했습니다. 이처럼 기도는 그리스도인에게 위대한 힘입니다. 또한 절망의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희망의 도구입니다. 2021년 10월, 이제 가을이 되었습니다. “가을에는 기도하게 하소서”라는 김현승 교수의 표현처럼 가을에 우리 모두 기도하는 그리스도인이 됩시다. “환난 날에 나를 부르라 내가 너를 건지리니 네가 나를 영화롭게 하리로다”(시50:15) |
|
331감사하는 삶을 삽시다 | 2021-10-10 |
나 가진 재물 없으나 / 나 남이 가진 지식 없으나 / 나 남에게 있는 건강 있지 않으나 / 나 남의 갖고 있지 않은 것 가졌으니 / 나 남이 보지 못한 것을 보았고 / 나 남이 듣지 못한 음성 들었으며/나 남이 받지 못한 사랑 받았고 / 나 남이 모르는 것 깨달았네/공평하신 하나님이 / 나 남이 가진 것 나 없지만 / 나 남이 없는 것을 갖게 하셨네 중증장애인 송명희씨의 시입니다. 최덕신집사가 이 시에 곡을 붙여 복음성가로 부르면서 우리에게 익숙한 찬송 시가 되었습니다. 송명희 시인은 1963년에 서울에서 출생하였습니다. 그는 태어날 때 의사의 실수로 뇌성마비 장애를 얻었지만, 중증장애를 신앙으로 극복하여 시집과 간증 수기를 출판했고 전국교회를 돌면서 1600회에 달하는 간증집회를 하여 수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은혜를 주었고 낙망한 사람들에게 희망을 가져다 주었습니다. 그러나 1997년 말부터 무리한 사역 활동으로 목 디스크를 얻었고, 노화 현상까지 증가하여 모든 사역 활동과 집필 활동을 중단하고 투병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전신이 마비되어 그를 아는 사람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습니다. 많은 신앙인들은 송명희 시인를 장애인이라기보다는 아름다운 사람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휠체어에 탄 채 어눌한 말투로서 하나님을 찬양하고, 손과 발을 다 섞어가며 메시지를 전하던 송명희의 그 환한 모습를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억합니다. 언젠가 신문기자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저는요 죽는다는 두려움보다 내 몸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 더 두려워요. 이런 시간이 언제까지 지속될 지 불안할 뿐입니다. 하지만 나는 하나님을 믿어요. 그리고 감사해요> 중증장애인으로, 가진 재물 없어도, 가진 지식 없어도, 지금은 병석에서 죽음을 바라보면서도 그는 감사합니다. 우리는 종종 우리의 상황을 비관하며 불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유에 대한 불만, 주변 상황에 대한 불평, 주변 사람들에 대한 짜증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리스도인은 범사에 감사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송명희 시인의 나가진 재물 없어도, 나 남이 가진 지식 없으나, 나 남에게 있는 건강 있지 않으나 하나님께 감사하는 그 모습을 보면서 우리도 모든 것은 주께서 인도하시고 주관하심을 깨달아 범사에 감사하는 그리스도인이 되어봅시다. |
|
330포기하지 않는 삶 | 2021-10-03 |
18세기 조선시대의 실학자로 잘 알려진 다산 정약용 선생은(1762-1836) 학문과 재능이 뛰어났지만 정치적 당쟁에 휘말려 18년의 긴 세월을 유배지에서 보냈습니다. 정약용 선생은 백성을 널리 이롭게 하려는 실학(實學)의 큰 뜻을 품었지만 당시 정치적 권력을 장악했던 노론 벽파의 반대로 뜻을 펼치지 못하고 오랜 세월 유배생활을 하다가 말년에 고향인 경기도 양수리로 돌아와 집필 활동을 하시다 75세에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은 22살(1783) 때 진사시험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공부를 시작합니다. 어느 날 성균관 유생들이 모여 이발기발(理發氣發) 대하여 토론하는 과정 중 정조에게 발탁되어 정조의 측근으로 일을 합니다. 31살 때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를 기리기 위하여 수원성을 건립할 때 정조는 정약용에게 중책을 맡깁니다. 이때 다산은 설계도를 만들었고 기중가도설(起重架圖說)을 창안하여 기중기를 만들어 공사에 사용하여 수원성 건립을 잘 감당합니다. 33살에 경기도 암행어사에 임명되었으며 38살에 형조참의로 임명되어 그 직임을 성실히 잘 수행했습니다. 그러나 39살 되던 해 정조가 죽자 그를 시기하는 노론벽파 사람들에 의하여 탄핵을 받아 40세에 그는 귀양을 가게 됩니다. 중앙과 지방의 행정 경험을 많이 쌓았던 그는 장차 명재상이 되어 나라를 새롭게 할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기대를 했지만 그를 시기하는 사람들 때문에 뜻을 이루지 못하고 전남 강진으로 유배를 갑니다. 다산 선생은 유배지에서도 제자들을 양성했고 책을 집필합니다. 보통의 사람들은 18년간 긴 세월 유배지에서 보냈다면 뜻을 굽히고 절망을 하는데 다산 선생은 유배지에서도 뜻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목민심서>를 완성했고 또한 <황상>과 같은 제자를 양성했습니다. 세상을 살다 보면 주변의 환경 때문에 자신의 큰 뜻을 펼치지 못할 때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은 어떤 상황에도 자신의 뜻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귀양지에서 포기하지 않고 목민심서(牧民心書)를 저술하며 제자들을 가르쳤던 다산 선생의 삶처럼 우리도 뜻을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노력하는 삶을 삽시다. “눈물을 흘리며 씨를 뿌리는 자는 기쁨으로 거두리로다 울며 씨를 뿌리러 나가는 자는 반드시 기쁨으로 그 곡식 단을 가지고 돌아오리로다”(시편126:5-6) |
|
329독서하는 습관 | 2021-09-26 |
저는 매일 아침 편지를 받습니다. 아침편지문화재단에서 보내는 <고도원의 아침편지>의 이메일입니다. <아침편지>는 여러 책에 나온 좋은 문장을 짧게 인용하여 편지를 보냅니다. 아침에 묵상하기 좋은 문장들입니다. 아침편지를 보내는 고도원 선생은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책 읽는 훈련을 받았습니다. 그의 아버지 고은석 목사님은 평양신학교 출신으로 가난한 시골교회 목회자였습니다. 그는 가난하지만 언제나 손에 책이 들려 있는 독서광이셨습니다. 그러기에 아들에게 책 읽는 훈련을 시키신 것입니다. 책 읽는 훈련으로 감동받은 문장에 줄을 치고, 독서카드를 작성하도록 했습니다. 그 결과 고도원은 중학교 2학년 때 함석헌 선생의 <뜻으로 본 한국역사> 토인비의 <역사연구>을 읽고 감동받을 정도였습니다. 인터뷰한 글을 보니 그는 아버지 고은석 목사님으로부터 <책 읽는 것, 남을 위한 눈물,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를 배웠다고 합니다. 그는 연세대학 신학과 그리고 대학원을 졸업하면서 대학신문 <연세춘추>의 편집장을 지냈고, 졸업 후 <뿌리 깊은 나무> 잡지사 기자, 중앙일보 기자, 김대중 대통령 연설문 담당 비서관을 지냈습니다. 그가 대통령 연설문 담당 비서관이 되었다는 것은 글 쓰는 실력을 인정받았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김대중 대통령은 누구보다도 책을 많이 읽은 다독가이며 연설가이며 기억력이 좋기로 유명합니다. 그런 대통령 밑에서 연설문을 쓴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5년 동안 그를 지탱해준 것은 독서의 힘이었습니다. 그 후 2001년 8월 1일 “희망이란” 제목의 아침편지를 시작하여 지금까지 매일 아침 360만 명에게 편지를 보내고 있습니다. 누군가 글을 써 읽는 독자들에게 감동을 준다는 것은 매우 뜻깊은 일입니다. 그리고 자신이 읽은 책 중에 감동받은 문장을 남에게 전달하는 일 역시 매우 의미 있는 일입니다. 고도원의 아침편지는 자신이 읽은 책 중에 감동받은 문장을 남에게 알려 함께 감동받자는 것입니다. 특히 젊은이들에게 꿈을 심어주는 일입니다. 다니엘서 1:17에 “하나님이 이 네 소년에게 학문을 주시고 모든 서적을 깨닫게 하시고 지혜를 주셨으니”라는 말씀처럼 어린 시절 독서하는 습관이 매우 중요합니다. 코로나로 어려운 2021년 가을, 자녀들에게 독서하는 습관을 가르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책 속에 길이 있고 글을 읽을 때 꿈을 키울 수 있습니다. |
|
328 묘비가 없는 칼빈 | 2021-09-19 |
종교 개혁자 칼빈(Jean Calvin 1509∼1564-프랑스 발음으로 칼뱅, 깔뱅으로 부른다)은 프랑스 느와용에서 1509년 태어났습니다. 칼빈의 아버지 제라르 코뱅은 느와용 지역교회의 주교 행정비서와 교회 법무 일을 했습니다. 교회 일을 하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일찍부터 성직록(聖職祿-성직자에게 주는 봉급)을 받았습니다. 그러기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 형편은 아니었습니다. 어린시절 성직자가 되고자 파리로 유학을 가서 스콜라 신학 공부를 하였고 아버지의 권유로 부르주, 오를레앙대학에서 법학 공부를 했습니다. 그러나 1531년 아버지가 죽자 그는 파리로 돌아와 고전과 인문학 그리고 신학 공부를 하였습니다. 1533년 칼빈은 친구 니콜라스 콥이 파리 왕립대학 학장으로 취임할 때, 비판적 연설문을 써주므로 파리에서 쫓겨나 도망을 가게 됩니다. 이후 1535년 스위스 바젤에서 숨어서 <기독교 강요>를 집필하게 됩니다. 그가 집필한 <기독교 강요>는 1559년 최종판까지 라틴어판, 프랑스어판 등으로 증보, 보완되어 출판되었습니다. 1536년 칼빈은 신학 연구를 계속하려고 스트라스부르크로 향하던 중 전쟁으로 가는 길이 어려워 스위스 제네바로 돌아서 가게 됩니다. 이때 제네바에서 개혁을 하던 기욤 파렐(Guillaume Farel, 1489-1565)를 만나 제네바에 정착하여 종교개혁을 합니다. 제네바 시에 정착한 칼빈은 <오직 하나님께 영광>, <하나님 절대주권 사상>를 부르짖으며 강력한 개혁을 단행합니다. 당시 영국에서 교회개혁을 하려다 어려움을 겪고 제네바로 피신한 잔 낙스(John Knox, 1513-1572)에게 큰 영향을 줍니다. 제네바 시에서 종교개혁을 한 칼빈의 삶은 너무나 위대한 개혁자의 삶이었습니다. 칼빈은 살아서 실행한 개혁주의 실천뿐 아니라 죽으면서 남긴 유언까지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줍니다. 그가 남긴 유언은 내 무덤에는 묘비를 세우지 말라는 것입니다. 칼빈의 무덤에는 이름이 없습니다. 다만 그의 무덤을 알리는 <J.C>라고만 표시되어 있습니다. 처음에는 그마저 없었는데 후에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그의 신앙을 추모하므로 약자로 <J.C>표시한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업적을 남기려고 기념비를 세웁니다. 그러나 칼빈은 묘비에 그의 이름을 새기지 않고 오직 하나님 영광만을 추구했습니다. 우리도 칼빈의 삶을 본받아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을 삽시다. |
|
327핑계하지 말고 순종하십시오 | 2021-09-12 |
대중 가요중 <핑계>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노랫말을 보면 “내게 그런 핑계를 대지마 / 입장 바꿔 생각을 해봐 / 니가 지금 나라면은 넌 웃을 수 있니 / 혼자 남는 법을 내게 가르쳐준다며 / 농담처럼 진담인 듯 건넨 그 한마디 / 안개꽃 한다발속에 숨겨진 편지엔 / 안녕이란 두 글자만 깊게 새겨있어 / 이렇게 쉽게 니가 날 떠날 줄은 몰랐어 / 아무런 준비도 없는 내게 / 슬픈 사랑을 가르쳐준다며 ---” 사랑하는 연인이 떠나면서 <혼자 있는 것을 가르쳐 준다며, 슬픈 사랑을 가르쳐준다며> 핑계를 대는 모습을 보면서 네게 그런 핑계 대지마 입장 바꿔 보면 너는 헤어지면서 웃을 수 있느냐는 내용입니다. 우리는 인생을 살면서 자신의 입장을 내세우면서 상대방에게 핑계를 댈 수 있습니다. <핑계>라는 단어의 뜻은 1.내키지 않는 사태를 피하거나 사실을 감추려고 방패막이가 되는 다른 일을 내세움. 2.잘못한 일에 대하여 이리저리 돌려 말하는 구차한 변명을 말합니다. 우리는 인생을 살다보면 핑계를 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모임에 조금 늦으면 “차가 많이 막혀서” “출발하는데 급한 전화가 와서”라는 가벼운 핑계부터, 학창시절 체육시간에 운동장에 나가기 싫어 배가 아프다고 하는 등 누구나 한 번쯤 했을 핑계들이 있습니다. 또한 세계를 전쟁의 공포 속으로 몰고 간 제2차 세계대전의 전범들이 재판과정에서 한 뻔뻔스러운 핑계들도 있습니다. 핑계는 대부분 자신을 변명하는 수단으로 상대방에게 표현하는 말입니다. 그런데 성경 출애굽기 3장에 보면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핑계를 댑니다. “오 주여 나는 본래 말을 잘하지 못하는 자니이다 주께서 주의 종에게 명령하신 후에도 역시 그러하니 나는 입이 뻣뻣하고 혀가 둔한 자니-- 오 주여 보낼 만한 자를 보내소서” 하나님이 모세를 애굽으로 보내며 하나님의 백성을 인도하여 약속의 땅으로 가라 합니다. 이때 모세는 자신은 말을 잘못한다는 핑계를 댑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핑계를 대는 모세에게 능력의 지팡이를 주시며 애굽으로 이끄십니다. 성도 여러분! 하나님이 가라 할 때 핑계하지 마세요. 어차피 하나님은 한번 명령하신 것은 거두지 않습니다. 또한 전능하신 하나님은 우리의 모든 핑계를 알고 계십니다. 그냥 순종하십시오. 순종하는 곳에 기적이 있습니다. |
|
326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사랑하라 | 2021-09-05 |
마더 테레사 수녀가 봉사했던 인도 켈커타의 한 어린이집 벽면에 걸려 있던 <그럼에도 불구하고 Anyway>라는 시(詩)가 있습니다. 내용은 이렇습니다. “사람들은 때로 분별이 없고 / 비논리적이고 자기중심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사랑하라. 당신이 선을 행할 때도 사람들은 / 이기적인 의도가 숨겨져 있을 거라고 비난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을 행하라. 당신이 오늘 행한 좋은 일은 / 내일이면 잊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일을 하라. 당신의 솔직함과 정직으로 인해 / 상처받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솔직하고 정직하라. -----중략 ----- 당신이 할 수 있는 최상의 것을 내주어도 / 세상의 비난을 받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라.” 켄터 케이스는 1946년 미국에서 태어나 하버드대학, 예일대학에서 공부를 했으며 변호사, 대학교수, 공직 관료, YMCA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을 한 사람입니다. 그가 쓴 <Anyway-그래도-우리에겐 아직 희망이 있다>라는 책은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책입니다. 켄터 케이스는 1960년대 하버드대학을 다니면서 세상이 온통 미쳐 돌아간다고 생각을 합니다. 당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분야의 사람들이 돈과 명예와 권력에 미쳐 돌아간다고 생각합니다. 당시 미국 사회는 흑백의 갈등과 흑인 인권운동, 히피문화의 등장, 경제의 대공항, 케네디 대통령 암살, 월남전 등 시대적으로 격동의 시대였습니다. 이러한 시대에 나 혼자라도 바르게 살자고 합니다. 나 혼자라도 바른 삶을 살다 보면 언젠가는 세상이 변화 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살자는 것입니다. <Anyway-그래도, 우리에겐 아직 희망이 있다>는 말처럼 미친 세상에 나 혼자라도 작은 실천을 하자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세상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진리를 위한 삶을 살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주님은 우리의 모든 것을 알고 계십니다. 또한 우리의 작은 실천이 세상을 변화시킬 것이기 때문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온 세상이 어렵더라도 우리는 바른 삶을 살아야 합니다. 우리의 작은 실천이 세상의 희망이 되고 세상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